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ng의 약자.
DNS를 이용하는 기술이며, 주로 웹(HTTP)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다.
서비스를 구성하는 방안은 여러가지가 있다.
- 도시(City) / 국가 등을 지역기반의 정보를 활용하여 Load Balancing을 우선하여 서비스 (Geolocation base)
- Latency / RTT 등 사용자와 서비스간 회선속도/응답속도 등을 우선하여 서비스
- Health Check를 수행하여 가용성을 우선하여 서비스
- 가중치를 설정하거나, Active-Backup 방식으로 서비스
DNS 및 GSLB가 구성되어있을 때, 일반적인 DNS의 Traffic Flow를 도식화 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1. Client 1.1.1.1이 통신사 등의 LDNS에 www.a.com 질의한다.
2. LDNS는 Root DNS에 .com(닷컴) DNS에 대해 질의 한다.
3. Root DNS는 LDNS에 .com(닷컴) DNS 주소를 응답한다.
4. LDNS는 .com(닷컴) DNS에 a.com DNS에 대해 질의 한다.
5. .com(닷컴) DNS는 LDNS에 a.com DNS 주소를 응답한다.
- 일반적으로 LDNS들은 DNS 응답값들을 TTL 시간만큼 cache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2-5 과정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6. LDNS는 a.com DNS에 www.a.com DNS에 대해 질의 한다.
- GSLB가 도입되지 않았다면, a.com DNS가 이 과정에서 www.a.com의 주소를 응답한다
7. a.com DNS가 LDNS에 www.a.com 위임 정보를 알려준다.
- NS위임과 cname위임 중에서 선택하는데, 일반적으로 cname 위임을 많이 사용하며, 경험상 cname 위임이 안전하다고 생각된다.
8. LDNS는 GSLB에 www.a.com DNS에 대해 질의 한다.
9. GSLB가 LDNS에 www.a.com 2.2.2.2 결과값을 응답한다.
10 LDNS가 Client에게 www.a.com 2.2.2.2 결과값을 응답한다.
주의사항)
위 과정들 중, 각 DNS 서버 및 GSLB 장비로 인입되는 Source IP는 LDNS의 IP 이다. 즉, Client가 직접 들어오지 않는다.
또한, 각 통신사 LDNS의 IP는 L4 VIP인 경우가 대다수 이기때문에, 정확히는 LDNS의 Real IP가 들어온다.
이 부분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면, GSLB 기능 중 Geolocation / RTT / Latency 방식 등에서 혼선이 올 수 있다.
미국/유럽 등에서 구성을 할 때 Geolocation / Latency / RTT 등을 이용하여 많이 구성을 한다.
(사용자에게 가까운 혹은 응답속도가 빠른 곳으로 서비스 하기 위함)
국내에서는 Health Check / 가중치 / Active-Backup 등을 설정하여 주로 구성한다.
서비스 가용성 체크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Health Check가 가능한 DNS 서비스"라는 인식이 강하다.
DR 센터를 구성할 때 필수로 사용되는 기술중 하나다.
주요 제조사로는 F5 Networks, Radware, A10 Networks, Citrix, Piolink 등이 있다.
아무래도 Load Balancing 서비스기 때문에, 대부분의 ADC 제조사들은 GSLB 기능을 지원한다.
'ADC, L4-L7스위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L4스위치의 다양한 구성 방안4 - FLB 구성 방식 (0) | 2023.04.20 |
---|---|
L4스위치의 다양한 구성 방안3 - Proxy IP 구성 방식 (0) | 2023.04.12 |
L4 스위치의 다양한 구성 방안 2 - One Arm 구성 방식 (0) | 2023.04.01 |
L4 스위치의 다양한 구성 방안 1 - In Line 구성 방식 (0) | 2023.03.28 |
Alteon 기본 명령어 모음 (0) | 2023.02.17 |